티스토리 뷰
모유 수유 장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사람이 모유 수유가 좋다고 이야기는 하지만 실제로 아이를 낳고 모유 수유를 끝까지 계속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출산 후 모유가 잘 나오지 않아서 섞이거나 분유로 바꾸게 되는 경우도 많고, 아이나 엄마가 아파서 어쩔 수 없이 모유 수유를 중단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짧은 출산휴가 후 직장에 복귀하게 되어서 모유 수유를 중단하는 경우도 있고, 아이가 단순히 모유를 잘 먹지 않거나 그 밖의 여러 가지 이유로 모유 수유를 계속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모유 수유의 좋은 점에 대해 말하기 전에 모유 수유를 하지 못하거나 중간에 중단하는 것은 괜찮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모유 수유가 추가적인 이점이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모유 수유를 할 수 없다고 해서 어머니가 자책할 필요까진 없습니다. 각자의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만큼의 모유 수유를 했으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모유 수유는 정말 힘든 일입니다. 특히 아이가 어릴 때는2~3시간 간격으로 꾸준히 반복해 밤낮으로 잠을 자지 않고 한 번에 30분 이상 끊임없이 반복해야 합니다. 유축도 힘들지만 직접 수유는 수유를 대부분 혼자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더더욱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이 힘든 일을 계속하려면 모유 수유가 객관적으로 아이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지 ‘모유 수유가 아이에게 좀 더 좋겠지…’라는 생각만으로 모유 수유를 계속하기는 너무나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힘들게 모유 수유를 하는 것이 아이에게 어떤 장점이 있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감염 위험 감소
모유의 가장 확실한 장점으로 모유에 있는 여러 항세균 및 항바이러스 항체, 방어 인자 덕분에 감염에 덜 걸리게 된답니다. 연구에 의하면 3~4개월 이상 모유 수유를 하면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입원까지 필요한 심한 호흡기 감염의 위험이 72%, 중이염의 위험이 50%, 장염의 위험은 64% 감소했다고 합니다.
특히나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큰아이가 있는 둘째, 셋째 아이들에게는 더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2. 알레르기 질환 감소
모유 수유를 하면 천식, 아토피 피부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의 위험도 감소하게 됩니다. 3개월 이상 모유 수유를 하면 알레르기 질환 저위험군에서는 위험도가 27%, 고위험군에서는 위험도가 42% 감소합니다. 알레르기 질환은 대부분 유전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부모가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라면 아무래도 아이에게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비만 위험 감소
모유 수유를 하지 않는 아이와 비교를 해보면, 모유 수유를 한 아이가 청소년, 성인시기에 비만에 걸릴 위험이 15~30% 감소합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직접 수유를 하는 것과 분유병에 담아 수유하는 것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어 앞으로 더 추가적인 연구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도 모유 수유가 비만 위험 감소에도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4. 당뇨병 감소
3개월 이상 모유 수유를 한 경우라면 1형 당뇨병의 위험이 30%감소합니다. 초기에 우유 단백질에 노출이 안 되는 것이 당뇨병 감소에 영향을 준답니다.
5. 두뇌 발달
사실 두뇌 발달과 연관된 연구는 유전적 요인, 부모의 학력 수준, 교육 환경, 사회경제적 수준 등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양해서 하나의 요인을 결정적인 요인으로 보기는 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개월 이상 모유 수유를 한 그룹이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지능 테스트 결과와 교수 평가가 약간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습니다.
특히나 미숙아와 같은 신경 발달 위험군에서는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두뇌 발달과 관련된 부분은 추가적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이라 결과 역시 민감하게 생각할 만큼 큰 차이는 아닙니다.
6. 산모의 이득
모우 수유 자체가 산모에게 주는 이득 또한 있습니다. 여러 이득 중 가장 확실한 이득은 우울증 감소와 체중 감소입니다. 연구를 통해 우울증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14,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모유 수유를 한 산모의 6개월 후 평균 체중이 1.38Kg 더 감소하였다고 합니다.
'이것이 정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개월별 초음파 사진 보는 법 (0) | 2022.12.21 |
---|---|
임신부 시기별 산전 검사 종류,주의사항 알아보기 (0) | 2022.12.21 |
아이에게 스마트폰 TV는 언제부터 보여줘야 할까?보여주는 시기 (0) | 2022.12.20 |
월령별 수유량과 수유 횟수 (1) | 2022.12.20 |
인공지능의 윤리적 성찰 (0) | 2022.04.04 |